esp32 BLE, Blynk Gauge

ESP32에서 Blynk로 센서값 보내기#

Blynk App의 GAUGE 위젯을 사용하여 ESP32에 연결된 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읽어 Blynk App에 전압(V), 저항(㏀) 값을 표시해본다. (ESP32 → Blynk App)

  • ESP32의 Potentiometer 값을 읽기 위해 BLYNK_READ(Vpin)을 사용한다.
  •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드는 경우, 새로운 auth token을 받아서 사용해야 한다.

schematic# …

esp32 BLE, Blynk Slider (PWM)

ESP32와 Blynk에서의 PWM 사용#

Blynk app에서 Slider 위젯을 사용하여 App → ESP32로 PWM 신호를 보내 LED의 밝기를 조절해본다.

  • Blynk에서 Slider는 Virtual pin을 사용해야한다. (Digital핀을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)
  • Virtual pin을 사용하기 위해 BLYNK_WRITE(Vpin)을 사용한다.
  • ESP32에서 PWM을 사용하기 위한 절차에 따라 코딩을 진행한다.

schematic#

※ …

esp32 ADC

ESP32 ADC#

  • ESP32는 18개의 12bit ADC 입력핀을 사용할 수 있다. (0~4095)
  • 아두이노의 경우 10bit를 사용한다. (0~1023)
  • 0V ~ 3.3V의 전압을 0~4095(0xFFF)까지의 디지털값으로 AD 변환한다.
  • Arduino IDE 환경에서는 ESP32의 ADC 관련 레지스터를 조작하지 않고 analogRead() 함수를 사용하여 ESP32의 ADC 입력핀의 전압값을 가져올 수 있다. 


Potentiometer 저항 …

esp32 시작하기

ESP32 시작하기#

Driver 설치: 처음 설치하는 경우#

ESP32는 USB-to-Serial bridge로 Silicon Labs의 CP210x를 사용한다.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OS에 알맞는 CP210x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설치한다.

https://www.silabs.com/products/development-tools/software/usb-to-uart-bridge-vcp-drivers

Arduino IDE 설치# …

esp32-WROOM-32D DevkitC V4

ESP32-WROOM-32D DevkitC V4#

핀아웃 다운로드


  • 녹색핀: 사용에 적합한 핀
  • 노란색: 사용은 가능하나 부팅시 예기치 않은 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는 핀 (GPIO34~39는 Input only!)
  • 빨간색: 입력 또는 출력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핀을 의미한다. (사용이 가능하더라도 사용하지 않음!)
  • 보라색: Wifi사용시 사용불가한 analog핀
  • GPIO에서 Output이 가능한 모든 핀은 PWM으로 사용 가능
  • ADC: 0 …

Blynk에 센서값 출력하기

원문: http://help.blynk.cc/en/articles/512056-how-to-display-any-sensor-data-in-blynk-app


센서값을 Blynk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Blynk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리얼모니터에 센서값들을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. ​센서값을 출력하는 코드가 완성되면, 그 다음으로 Blynk에 센서값을 보내는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.

Blynk앱에 센서값을 표시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으 …

Bluetooth Serial Controller 앱

Bluetooth 시리얼 통신#

Bluetooth Serial Controller 앱을 통하여 아두이노와 스마트폰 간의 간단한 시리얼 통신을 해보겠습니다. 이를 위해서는 먼저 Bluetooth 페어링 문서를 참고하여 블루투스 모듈과 스마트폰을 페어링 해두어야 합니다. 페어링이 완료된 후 시리얼 통신을 진행합니다.


schematic#


sketch#

#include <SoftwareSerial.h>
SoftwareSerial BTSerial( …

hexo icarus 테마로 Github 블로그 만들기

필수 요소#

Hexo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만들기에 앞서 아래 요소를 먼저 설치

  • git
  • github.com에 repository 2개 생성하기
    • 사용자ID-archives
    • 사용자ID.github.io
  • node.js
  • npm

hexo.io 사이트에는 이를 위한 설치 방법이 간단하게 요약이 되어 있지만, 이것만으로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블로그를 운영하기는 쉽지 않다. 이 글은 아무것도 설치 되어있지 않은 상태의 윈도우 사용 컴퓨터 사용자를 기준으로, d드 …